회계학

[회계]당좌자산의 회계처리(1)

세겸 2022. 5. 18. 12:57
반응형

단기금융상품과 단기매매증권

 

- 단기금융상품

1. 금융기관에서 취급하는 정기예금, 정기적금 및 기타 정형화된 상품 등으로 기업이 단기적 자금운영목적으로 보유하거나 보고기간 말로부터 만기가 1년 이내에 도래하여야 한다.

2. 회계기간 중 정기예금, 정기적금은 각각의 계정을 설정하여 회계처리를 하지만 발생빈도가 거의 없거나 비교적 소액일 경우 단기금융상품이라는 통합계정을 사용하기도 한다. 공시할 경우에도 단기금융상품으로 통합하여 표시한다.

 

- 단기매매증권

단기매매증권은 유가증권 중 공개된 시장을 통하여 공개적인 매매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고, 단기적 자금운용을 목적으로 소유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단기매매증권은 재무상태표에 유동자산으로 분류한다. 한편, 기업이 여러 종류의 주식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보유하고 있다면 각 증권의 평가손익을 중요성의 관점에서 통합하여 단일 금액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기매매증권의 취득원가는 취득 부대비용을 당기비용으로 처리한다 , 단기매매증권은 보고기간 말에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이 금액을 새로운 장부금액으로 한다, 즉 측정 전에 장부금액을 기말 공정가치로 조정하여 재무상태표에 표시한다. 단기매매증권의 기말평가에서 평가이익과 평가손실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총액 보고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금액이 중요하지 않는 경우 서로 상계하여 순액 표시할 수 있다. 단기매매증권의 처분가액과 처분 시 장부가액을 비교하여 처분손익을 인식한다. 매각대금에서 매각 수수료는 매각대금에서 차감하여 회계 처리한다. 

 

-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기업의 계속적이며 반복적인 주된 영업활동에서 발생되는 채권으로 외상매출금과 받을 어음이 있으며, 매출채권은 매출의 발생과 동시에 생겨난다. 

 

- 외상매출금, 매출처원장

외상매출금은 일반적 상거래에서 발생한 채권을 말한다, 상품이나 제품을 외상으로 판매하고 대금을 회수하지 않는 미수액이다, 매출에누리는 불량품, 수량 부족, 견본과의 상이 등으로 인하여 매출액에서 차감되는 금액이고, 매출 환입은 일단 매출되었던 상품을 반환받은 것으로 매출액에서 차감된다. 매출할인은 할인기간 내에 대금을 상환하는 것으로 매출액에서 차감되는 금액이다. 

매출처 원장 외상거래의 기장시에는 총계정 원장에 통제 계정인 외상매출금 계정을 설정하고, 보조원장으로 매출처 원장을 거래처별로 설정하여 회계 처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통제 계정은 총계정 원장에는 하나의 계정을 두고 그 계정 아래 보조원장을 두어 인명 계정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 계정이다. 외상거래에 있어서 통제 계정은 총계정 원장의 외상 매출금 계정이 되고 이들 통제 계정에 대해 보조원장의 각 거래처별 계정은 채권의 상세한 내역을 나타내는 것이다. 통제 계정을 사용할 경우에 통제 계정의 잔액은 보조원장의 개별 계정의 금액이 바뀌지 않는 한 변동될 수 없어 통제 계정의 잔액은 개별 계정의 잔액과 항상 일치한다. 

 

- 받을 어음, 받을 어음 기입장

받을 어음은 상품의 외상거래에 있어서 구두 약속보다 법적 구속력이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있는 증거가 된다. 상품을 매출하고 약속어음을 받으면 받을 어음 계정 차변에 기록한다. 어음 수취인과 만기일, 만기금액, 채무자인 어음발행인의 거래은행, 이자율 등이 기재된다. 받을 어음 기입장은 받을 어음을 발생순서에 따라 기입하되 거래내용, 금액, 어음 종류, 발생인등 명세를 기입하는 장부이며, 특정일 현재의 받을 어음의 현재 재액을 알 수 있다. 회계장부상에 보조부로서 보조기 입장에 속한다. 

 

초보자 30일 완성 중

320x100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회계용어정리(2)  (0) 2022.05.20
[회계]지방세의 종류 및 성립시기  (0) 2022.05.19
[회계]영업외수익과 영업외비용  (0) 2022.05.04
[회계]회계용어정리(1)  (0) 2022.05.02
[회계]회계용어정리  (0) 2022.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