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학

[회계]결산과 재무제표

세겸 2022. 4. 25. 23:21
반응형

결산
결산이란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자산, 부채, 자본의 변동내용 및 그 변동들로 인한 결과를 종합하여 재무제표로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결산의 절차는 예비 절차와 본 절차 및 재무제표 작성 절차로 구분된다.
결산의 예비 절차 1. 시산표의 작성, 2. 결산 수정 분개, 3. 수정후시산표 또는 정산표의 작성

결산의 본 절차 1. 원장의 모든 계정을 마감하는 절차로 손익계산서 계정을 먼저 마감하고, 재무상태표 계정을 마감한다.
2. 비용과 수익계정의 마감, 3. 손익 계정의 마감, 4. 자산, 부채 , 자본계정의 마감 , 5. 이월 시산표의 작성, 6. 전기이월의 표시

재무제표 작성 절차 먼저 집합손익계정을 기초로 손익계산서를 작성하고, 이월 시산표를 이용하여 재무상태표를 작성한다. 그리고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및 주석을 포함하여 재무제표를 완성한다.

시산표는 기중에 발생한 거래들에 대한 분개 및 총계장원장의 계정 기록이 정확한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표이다. 즉, 기중 거래 기록의 타당성을 우선 검증한다.

시산표의 작성절차
1. 시산표의 계정과목란에 계정 원장의 순서대로 각 계정의 차변 잔액 또는 대변 잔액을 해당란에 그대로 기입한다.
2. 차 변란 합계와 대변란 합계를 구한다.
3. 대차가 일치되는지를 검사한다.
- 수정전 시산표 작성 : 결산의 첫 단계로 결산 정리 분개를 하기 전에 분개의 정확성 확인, 원장의 차변과 대변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 수정 후 시산표 작성 : 결산 정리 분개를 원장에 전기한 후에는 수정 후 시산표가 작성된다. 수정후 시산표를 작성하는 목적은 회계기간 중에 발생한 모든 재무적 사상의 영향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 수정 후 시산표는 재무제표 작성의 주요한 근거가 된다.
시산표의 종류
1. 합계 시산표 원장에 있는 각 계정의 차변 합계액과 대변 합계액을 모은 표이다
2. 잔액 시산표 원장의 각 계정의 잔액만 모은 표로 시산표 등식과 일치하고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작성에 용이하다
3. 합계 잔액 시산표 원장 계정의 잔액과 합계액을 모두 나타낸 표이다.
시산표는 총계정 원장에 있는 모든 계정인 자산, 부채, 자본 , 비용, 수익 계정을 모아 작성된다.
시산표 등식 : 기말 자산+총비용=기말 부채+기초자본+총수익

정산표의 작성
수정전 시산표와 수정 후 시산표를 작성한 후 포괄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를 보다 쉽게 도출할 수 있는 양식이 정산표이다.
정산표는 재무제표의 작성을 위한 필수적 절차가 아니라 임의적인 절차로 선택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초보자 30일 완성 中

320x100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회계용어정리(1)  (0) 2022.05.02
[회계]회계용어정리  (0) 2022.04.29
[회계]회계장부  (0) 2022.04.26
[회계]당좌자산의 회계처리  (0) 2022.04.25
[회계]회계의 기본 원리  (0) 2022.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