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좌자산의 의의
당좌자산은 유동자산 중에서 현금화하기 쉬운 성질의 자산으로 판매과정을 거치치 않고 현금화가 가능하며 비교적 운용이 자유로운 자산이다. 그리고 당좌자산은 재무상태표일로부터 1년 이내에 현금화 가능한 자산이므로 유동자산에 해당한다.
당좌자산의 종류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당기손익인식 금융자산, 매출채권, 단기대여금, 미수금, 미수수익, 선급금, 선급비용, 이연법인세 자산, 기타당 과자산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의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란 현금과 예금 및 현금성 자산으로 한다.
현금성 자산이라 함은 큰 거래비용이 없이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이자율 변동에 따른 가치 변동의 위험이 중요하지 않은 유가증권 및 단기금융상품으로써 취득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것을 말한다
주의할 점은 우표나 수입인지는 현금처럼 유통될 수 없으므로 소모품이나 선급 이용으로 분류하고 차용증서는 대여금으로 분류한다. 또한 선일자 수표는 매출채권 또는 미수금으로 분류한다.
현금과 부족
장부상 현금잔액과 실제 현금잔액이 계산의 착오나 거래의 누락 등에 의해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처리하는 임시 계정으로서 외부에 공시하는 재무제표에 표시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현금 불일치는 발견하였을 때 현금과 부족이라는 임시 계정에 회계처리하였다가, 추후 차이내역을 규명하여 해당 계정으로 회계 처리한다.
그러나 결산 시까지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 부족액은 잡손실 계정으로 처리하고 초과액은 잡이익 계정으로 대체 처리하여야 한다.
당좌예금 당좌예금은 기업이 은행과 당좌 계약을 맺고서 은행에 현금을 예입하고 필요에 따라 수표를 발행하여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예금이다. 기업은 예금할 때 현금, 타인발행의 수표 등으로 예입하고 은행으로부터 수표장을 받아 수표를 발행한다. 상품, 물품 등의 대금지급에 수표를 사용함으로써 은행이 대급 지급을 대행해 주는 셈이 되어 영업상 편리한 예금이다.
당좌예금 계정의 차변에는 현금의 예입이 기록되고 대변에는 인출이 기입된다. 따라서 잔액은 보통 차변에 남아 당좌예금의 현재액을 나타내게 된다.
당좌예금의 인출은 당좌예금잔액의 범위 내에서 행해지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은행과 미리 당좌차월 계약을 체결하여 일정한 한도 내에서 예금잔액을 초과하여도 수표를 발행하여 은행이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것을 당좌차월이라고 한다. 당좌차월은 회사의 은행에 대한 부채라고 볼 수 있어 단기차입금으로 분류한다. 금융회사의 요구에 따라 즉시 상환하여야 하는 당좌차월은 기업의 현금관리의 일부를 구성하는데 이때 당좌차월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구성요소에 포함된다.
초보자 30일 완성 기업회계 3급 中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회계용어정리(1) (0) | 2022.05.02 |
---|---|
[회계]회계용어정리 (0) | 2022.04.29 |
[회계]회계장부 (0) | 2022.04.26 |
[회계]결산과 재무제표 (0) | 2022.04.25 |
[회계]회계의 기본 원리 (0) | 202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