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계의 의의
회계는 정보이용자가 사정에 정통하여 판단이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경제적 정보를
식별, 측정, 전달하는 과정이다.
즉 이는 재무적 성격을 갖는 거래나 사건을 일정한 원리에 따라 기록. 분류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며 이를 회계정보이용자들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회계의 영역
회계는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모든 경제단위를 대상으로 정보를 산출하고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재무회계는 투자자, 채권자, 정부 등 기업의 다양한 외부정보이용자들을 보고 대상으로 하는 회계분야이다.
기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각각의 개별 욕구 충족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대표적 이해관계자인 투자자, 채권자를 중심으로 해서 공통적인 욕구를 수렴하여 회계정보를 산출한다.
따라서 재무회계는 이러한 공통의 정보욕구하에서 일반목적의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제공한다.
관리회계는 내부정보이용자인 경영자가 경영활동을 계획하고 통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계분야이다.
경영자는 제품의 가격결정, 목표이익 달성을 위한 판매수량 결정, 설비투자 결정 등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관리회계는 이러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관리회계의 정보에는 기업의 재무적 정보뿐만 아니라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판단자료까지 포함하게 되며, 재무회계와 달리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원칙에 구애를 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정보가 제공된다.
회계와 부기
부기는 기업의 경영활동과정에서 발생한 거래를 장부에 기록, 분류, 요약하는 것을 말한다.
1. 단식부기 거래나 경제적 사건에 있어서 결과 중심으로 기록하며, 현금의 유입과 유출 시점에 주로 회계처리가 이루어진다.
2. 복식부기 거래나 경제적 사건에 있어서 원인과 결과로 사건을 기록하며,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아니라 거래의 발생에 초점을 두고 회계처리가 이루어진다.
회계는 한 회계기간에 발생한 경제적 사건을 장부에 기록하는 기술뿐만 아니라 회계정보가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전달하는 과정까지도 포함한다.
거래의 의의
회계상 거래란 제무제표의 구성요소 즉, 자산 부채와 자본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장부의 기록 대상이 되는 사건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순자산의 변동을 가져오는 거래를 회계상 거래라고 한다.
회계상 거래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회사의 재산상태에 영향을 미쳐야 하고 그 영향을 금액으로 측정 가능하여야 한다
거래의 8요소
거래의 8요소는 장부기입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자산의 증가, 자산의 감소, 부채의 감소, 부채의 증가, 자본의 감소 , 자본의 증가, 비용의 발생, 수익의 발생 등 8가지 요소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거래의 결합관계에서 적용되는 원칙들로 첫째, 거래의 이중성이 있다.
이는 하나의 거래에 원인과 결과가 차변과 대변항목에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둘재 대차평균의 원리는 거래의 이중성의 원칙이 작용하여 회계장부의 차변 합계와 대변 합계가 일차 하는 원리이다. 셋째, 복식부기의 자기 검증기능은 대차 평균의 원리에 의해 장부상의 오류를 검증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로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합친료를 시산표라고 하는데, 시산표 왼쪽에는 자산과 비용을 기재하고 오른쪽에는 부채와 자본, 수익을 기재한다. 시산표의 왼쪽 합계 금액과 오른쪽 합계금액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초보자 30일 완성 기업회계 3급 中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회계용어정리(1) (0) | 2022.05.02 |
---|---|
[회계]회계용어정리 (0) | 2022.04.29 |
[회계]회계장부 (0) | 2022.04.26 |
[회계]결산과 재무제표 (0) | 2022.04.25 |
[회계]당좌자산의 회계처리 (0) | 2022.04.25 |